프로그래머스/코딩문제

[프로그래머스] Lv.0 배열 만들기 5

쟌문 2024. 1. 30. 12:57
반응형

문제 바로가기

🔖 문제 설명 

문자열 배열 intStrs와 정수 ksl가 주어집니다. intStrs의 원소는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
배열 intStrs의 각 원소마다 s번 인덱스에서 시작하는 길이 l짜리 부분 문자열을 잘라내 정수로 변환합니다. 이때 변환한 정수값이 k보다 큰 값들을 담은 배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

 


⛔ 제한사항

  • 0 ≤ s < 100
  • 1 ≤ l ≤ 8
  • 10I-1k < 10l
  • 1 ≤ intStrs의 길이 ≤ 10,000
    • s + l ≤ intStrs의 원소의 길이 ≤ 120

 


📋 입출력 예시

intStrs k s l result
["0123456789","9876543210","9999999999999"] 50000 5 5 [56789, 99999]

 

 


🔖 입출력 예 설명

입출력 예 #1 

  • idx에 따라 잘라낸 문자열과 그에 따른 ret의 변화를 표시하면 다음 표와 같습니다.
idx 잘라낸 문자열 ret
0 "56789" [56789]
1 "43210" [56789]
2 "99999" [56789, 99999]

 

  • 따라서 [56789, 99999]를 return 합니다.

 


🧾 기본 제공 코드

function solution(intStrs, k, s, l) {
    var answer = [];
    return answer;
}
 
 
 

🗳️ 직접 풀이한 코드

function solution(intStrs, k, s, l) {
    const arr = [];
    for (let i = 0; i < intStrs.length; i++) {
        const str = Number(intStrs[i].slice(s, s + l));
        if (k < str) arr.push(str);
    }
    return arr;
}

 

 

 

🔧 리팩토링한 코드

function solution(intStrs, k, s, l) {
	return intStrs.map((int) => +int.slice(s, s + l)).filter(n => n > k);
}

 

처음 문제를 풀었을 때 일반적으로 접근하기 좋은 간단한 방식으로 문제를 풀었다.

 

문제를 풀던 중 문자열을 Number타입으로 변환해야 하는 부분이 나왔고 + 기호를 사용하여 변환할지 Number() 내장 객체를 활용하여 변환할지 고민하다가 Number() 내장 객체를 활용하여 변환하였다.

 

처음 + 기호를 활용하지 않은 이유는 변수들 사이에 자그마하게 표시된 + 기호가 그다지 직관적이어 보이지 않았고 가독성에 좋아보이지 않았다.

 

풀이 이후 리팩토링한 코드에서는 + 기호를 사용하여 타입을 변환했다. 처음엔 사용하지 않았으나 이후엔 사용했던 이유는 간단하다. 깔끔해진 한 줄의 코드 안에서 + 기호가 눈에 띄게 잘 보였기 때문에 Number() 내장 객체를 굳이 사용하지 않고 + 기호로 간단하게 처리하였다.

 

이번 문제는 이전 문자열 여러 번 뒤집기 문제에서 소개되었던 것처럼 문제의 의도가 문자열을 추출하기 위한 목적인지 단순히 값을 추가하거나 삭제 또는 변경하려고 할 때의 목적인지를 분명하게 안다면 각 의도에 맞게 필요한 메서드를 활용하면 되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풀 수 있는 문제였다.

 

 


🔸 작성된 본문 내용 중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.
🔸 고칠 부분이나 추가되면 좋을 내용 댓글로 남겨주시면 완성도 높은 글을 만들어가는 데에 큰 힘이 됩니다. ☺️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