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그래머스/코딩문제

[프로그래머스/JS] Lv.1 비밀지도

쟌문 2023. 11. 16. 14:46
반응형

문제 바로가기

문제 해설 보러가기

 

🔖 문제 설명 

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.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. 다행히 지도 암호를 해독할 방법을 적어놓은 메모도 함께 발견했다.

  1. 지도는 한 변의 길이가 n인 정사각형 배열 형태로, 각 칸은 "공백"(" ") 또는 "벽"("#")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.
  2. 전체 지도는 두 장의 지도를 겹쳐서 얻을 수 있다. 각각 "지도 1"과 "지도 2"라고 하자. 지도 1 또는 지도 2 중 어느 하나라도 벽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벽이다. 지도 1과 지도 2에서 모두 공백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공백이다.
  3. "지도 1"과 "지도 2"는 각각 정수 배열로 암호화되어 있다.
  4. 암호화된 배열은 지도의 각 가로줄에서 벽 부분을 1, 공백 부분을 0으로 부호화했을 때 얻어지는 이진수에 해당하는 값의 배열이다.

 

 

네오가 프로도의 비상금을 손에 넣을 수 있도록, 비밀지도의 암호를 해독하는 작업을 도와줄 프로그램을 작성하라.

 


🔖 입력 형식

입력으로 지도의 한 변 크기 n 과 2개의 정수 배열 arr1arr2가 들어온다.

  • 1 ≦ n ≦ 16
  • arr1arr2는 길이 n인 정수 배열로 주어진다.
  • 정수 배열의 각 원소 x를 이진수로 변환했을 때의 길이는 n 이하이다. 즉, 0 ≦ x ≦ 2n - 1을 만족한다.

 


🔖 출력 형식

원래의 비밀지도를 해독하여 '#'공백으로 구성된 문자열 배열로 출력하라.

 


📋 입출력 예시

매개변수 
n 5
arr1 [9, 20, 28, 18, 11]
arr2 [30, 1, 21, 17, 28]
출력 ["#####","# # #", "### #", "# ##", "#####"]

 

매개변수
n 6
arr1 [46, 33, 33 ,22, 31, 50]
arr2 [27 ,56, 19, 14, 14, 10]
출력 ["######", "### #", "## ##", " #### ", " #####", "### # "]

 

 


🧾 기본 제공 코드

function solution(n, arr1, arr2) {
    var answer = [];
    return answer;
}
 
 

🗳️ 직접 풀이한 코드

function solution(n, arr1, arr2) {
    const transferBinaryScaleLength = (binary) => {
        return binary.padStart(n, '0');
    }
    
    const transferBinaryScaleArr = (array) => {
        return array.map((el) => {
            let binaryScale = el.toString(2);
            
            if (binaryScale.length < n) {
                binaryScale = transferBinaryScaleLength(binaryScale);
            }
            
            return binaryScale;
        })
    }
    
    const transferElementSymbol = (array) => {
         return array.map((arr) => {
            let str = '';
            for (let i = 0; i < arr.length; i++) {  
                if (arr[i] === '0') {
                    str += ' ';
                } 
                if (arr[i] === '1') {
                    str += '#'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     
            return str;
        })
    }
    
    const comparisonArrayMerge = (arr1, arr2) => {
        let resultArray = [];
        let maxLength = Math.max(arr1.length, arr2.length);
      
        for (let i = 0; i < maxLength; i++) {
          let str1 = arr1[i] || '';
          let str2 = arr2[i] || '';
          let maxStrLength = Math.max(str1.length, str2.length);
          let resultStr = '';
          
          for (let j = 0; j < maxStrLength; j++) {
            let char1 = str1[j] || ' ';
            let char2 = str2[j] || ' ';
            resultStr += (char1 === '#' || char2 === '#') ? '#' : ' ';
          }

          resultArray.push(resultStr);
        }

        return resultArray;
    }
    
    const newArr1 = transferBinaryScaleArr(arr1);
    const newArr2 = transferBinaryScaleArr(arr2);
    
    const newSymbolArr1 = transferElementSymbol(newArr1);
    const newSymbolArr2 = transferElementSymbol(newArr2);
    
    const result = comparisonArrayMerge(newSymbolArr1, newSymbolArr2);
    
    return result;
}

 

 


🗳️ 다른 사람이 풀이한 코드

1)

function solution(n, arr1, arr2) {
    return arr1.map((v, i) => addZero(n, (v | arr2[i]).toString(2)).replace(/1|0/g, a => +a ? '#' : ' '));
}

const addZero = (n, s) => {
    return '0'.repeat(n - s.length) + s;
}

 

 

2)

var solution=(n,a,b)=>a.map((a,i)=>(a|b[i]).toString(2).padStart(n,0).replace(/0/g,' ').replace(/1/g,'#'))

 

 

난이도가 낮은 편에 속하는 문제일 거라고는 생각했다. 다만 이렇게 1줄 내지는 7줄만에 풀이가 가능한 문제일 거라는 생각하지 못했는데 보고서 놀라웠다..

 

 


😎 카카오 테크 문제 해설

이 문제는 비트 연산Bitwise Operation을 묻는 문제입니다. 이미 문제 예시에 2진수로 처리하는 힌트가 포함되어 있고, 둘 중 하나가 1일 경우에 벽 #이 생기기 때문에 OR로 처리하면 간단히 풀 수 있습니다. 아주 쉬운 문제였던 만큼 if else로 풀이한 분들도 많이 발견되었는데요. 정답으로는 간주되지만 이 문제는 비트 연산을 잘 다룰 수 있는지를 묻고자 하는 의도였던 만큼 앞으로 이런 유형의 문제를 풀 때는 비트 연산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문제 해설 보러가기

 

 


💬 마치며

직접 문제를 풀면서 재밌기도 했고 좋았지만 다른 사람들이 풀이한 풀이를 보며 생각했다. 효율적인 측면을 놓고 봤을 때 어떤게 더 좋은지에 관해서였다. 보통 함수를 생성할 때 하나의 역할만 가지도록 생성하라고 한다. 그리고 가독성을 고려하라 한다. 또는 나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봤을 때도 쉽게 이해 가능하도록 설계하라고 한다. 직접 문제를 풀 때도 그런 부분들을 고려하여 풀이를 하려고 했고, 실제 구분 지으면 좋을 만한 코드들은 함수로 생성하여 구분지었다. ( 물론 짧게 해결할 수 있는 풀이 방법을 생각하지 못하기도 했고 문제 출제자가 의도한 출제 의도가 무엇인지에 대한 핵심을 몰랐던 이유도 있었다. ) 다만 그럼에도 내가 짠 코드가 가독성이 좋고 효율적인 코드인지에 대한 망설여짐이 있었다.

더보기
다른 사람들이 풀이한 코드가 다소 어려워보이고 해석하는데 약간의 시간이 소요될지언정 그런 부분들은 내가 짠 코드도 별반 다르지 않다 느꼈다.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풀이한 코드는 또 한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그런 측면으로 본다면 그런 코드들이 더 가독성이 좋고 효율적인 코드가 아닌가 라는 생각도 들었다.

함수로 구분 지은 것? 좋다. 그리고 가독성을 위해 함수로 따로 구분하고 목적성을 띈 함수명으로 작명한 것? 좋다. 하지만 코드가 길다. 코드를 확인하려면 확인을 위해 스크롤을 동작해야 하고 함수명으로 인해 어떤 목적성을 띄는지 의도를 파악할 순 있으나 코드 확인을 위해 자꾸만 스크롤이 동작되어야 한다. 그럼 한 눈에 확인 가능한 코드 대비 시간이 소요된다. 문제 해결을 위함 뿐만 아니더라도 알고리즘 동작을 위한 코드 작성에서의 시간 소요도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. 이게 코딩테스트 문제 해결을 위한 시간 단축 측면 뿐만 아니라 실무라고 한다면? 다 돈과 직결된다. 해결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도 모두 다 비용이다. 시간 절약을 생각했을 때도 간단하게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게 더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.

 

고민과 생각의 흔적이 짙었지만 결론으로 결국 다 상황과 장소에 따라 장단점이 있는 부분이라고 결론 내렸다. 코딩테스트에서 갖춰야 할 역량은 시간 안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효율적으로 문제를 풀이할 수 있는 분석력과 판단력이다. 그리고 실제 실무 환경인 회사와 팀은 협업 환경이기 때문에 회사마다 다를 것이고 팀마다도 다를 수 있다. 코드가 아쉽게 설계되어 있더라도 동작만 한다면 오케이! 시간을 무조건 중요 시 할 수도 있고, 시간도 중요하겠지만 협업을 위해 양질의 코드로 설계되어 있는 것을 선호하는 등 다를 수 있다. 요구되는 바가 다를 것이다.

 

어쨌든 결론적으로 말이 길었지만 이 풀이를 통해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어서 좋았고, 좋은 경험이 되었다. 다른 사람들의 풀이를 보며 하나 더 배울 수 있는 풀이 시간이 되어서 유익한 경험이었다.

 


📎 참고

 


🔸 작성된 본문 내용 중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.
🔸 고칠 부분이나 추가되면 좋을 내용 댓글로 남겨주시면 완성도 높은 글을 만들어가는 데에 큰 힘이 됩니다. ☺️

 

반응형